생각정리의 기술 - 드니 르보 외 -
지렁이와 돌멩이 같은 것들이 연결되어 있는 그림.
그 그림을 마인드맵이라고 부르는 걸 회사 다니면서 알게 되었다.
그 전까지는 '생각의 흐름' 또는 '생각의 매듭' ...?
이런 정도의 개념으로만 들었었는데,
어느 기회에선가 마인드맵을 알게 되었다.
그렇다고는 해도, 굳이 일을 하면서
마인드맵을 일일이 그려가면서 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테다.
그저 이 컨셉과 개념을 가지고서,
하고 있는 많은 일들을 Categorizing 하고,
가지고 있는 Option들을 나열한 다음에 Evaluation 하고.
일반적인 문제해결법들 중에 하나로,
어떻게 보면 가장 기본적인 Frame 이 아닐까?
어떻게 보면 이 책은,
한 조직이 그 마인드맵을 체제화시키기 위한 Manual 같은 책이다.
개념과 장점 단점, 컨셉 등은 책을 사서 확인해 보시길 바라며,
중요한 몇 가지 단어 및 메세지들만 정리.
+
들으면, 잊는다.
보면, 기억한다.
행동하면, 이해한다.
- 공자 (기원전 551~492년) -
뷔페식당에서 줄을 서서 음식을 고를 때를 생각해보자.
우리는 보통 줄을 따라 여러 가지 음식이 진열된 코너를 차례로 지나치게 된다.
융통성 있는 사람이라면 진열된 많은 음식들 중
자신이 먹고 싶은 음식을 고르기 위해 무작정 앞 사람만을 따라가지는 않을 것이다.
마음에 드는 음식이 있는 코너로 건너뛰면서,
자신의 취향에 따른 식단을 창의적으로 구성할 것이다.
그림으로 표현된 프로젝트는 두 가지 기능이 있다.
하나는 생각을 구체적으로 나타냄으로써
자신이 원하는 바를 더 잘 알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며,
또 하나는 프로젝트를 통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의도에 관심을 갖고
생각을 교류함으로써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다.
- 장 피에르 부티네 (프로젝트 진행의 심리학 中) -
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두 단계로 나뉜다.
-전략 (전략 마인드맵: 목표설정)
-전술 (활동 마인드맵: 목표에 다다르기 위한 업무 활동)
마인드 맵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, 혹은 누군가에게 설명하려면 읽으시길. (평점 5점)